DEV_Larva
AWS 글로벌 인프라와 리전 선택 가이드 본문
반응형
AWS 글로벌 인프라는 전 세계에 분산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기업이 애플리케이션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클라우드 인프라입니다. 과거에는 기업이 직접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운영해야 했지만, AWS를 통해 물리적 소유와 무관하게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WS 글로벌 인프라 주요 구성 요소
- 리전(Region): AWS 서비스가 제공되는 국가 또는 도시 단위의 물리적 위치로, 여러 개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 가용 영역(AZ, Availability Zone): 독립된 데이터 센터 그룹으로,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합니다.
-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사용자에게 빠른 콘텐츠 전달을 위한 캐시 서버 위치입니다.
- 리전 엣지 캐시(Regional Edge Cache): 엣지 로케이션과 오리진 서버 사이에서 캐시 효율을 높여줍니다.
리전 선택 시 고려해야 할 4가지 핵심 요소
- 규정 준수: 데이터가 특정 국가나 지역을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 법적·규제적 요구 사항 준수 여부 확인
- 근접성: 고객과 가까운 리전을 선택해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최소화
- 기능 가용성: 원하는 AWS 서비스가 해당 리전에서 제공되는지 여부 확인
- 가격: 리전별 운영 비용과 세금 차이로 인한 서비스 가격 차이 고려
예시
- 영국 내 데이터 보관이 필수라면 런던 리전 선택
- 싱가포르 고객이 많다면 싱가포르 리전에서 서비스 운영
- 특정 신기능이 일부 리전에서만 제공될 경우 해당 리전 선택
- 브라질 리전은 세금 등으로 인해 비용이 더 높을 수 있음
AWS 글로벌 인프라의 장점
- 고가용성 및 재해 복구: 여러 리전과 가용 영역에 분산되어 장애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 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는 사용자가 허용하지 않는 한 선택한 리전을 벗어나지 않으며, 해당 지역 법률 적용
- 확장성과 유연성: 필요에 따라 전 세계 어디서든 리소스 확장 및 축소 가능
- 비용 효율성: 초기 투자와 운영 비용 절감, 사용량 기반 과금 체계
요약
AWS 글로벌 인프라는 기업이 규정 준수, 근접성, 기능 가용성, 가격 등 다양한 요구 사항에 맞춰 최적의 인프라를 선택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리전 선택은 단순한 위치 선정이 아니라 법적 요구, 서비스 제공 현황, 비용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출처
Self-paced digital training on AWS - AWS Skill Builder
explore.skillbuilder.aws
반응형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PC(Virtual Private Cloud) (0) | 2025.04.24 |
---|---|
가용 영역(AZ) & 엣지 로케이션 (0) | 2025.04.18 |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SaaS) (0) | 2025.04.09 |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PaaS) (0) | 2025.04.08 |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laaS)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