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돋보기 - DNS(Domain Name System)
·
Cloud/Network
DNS(Domain Name System)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도메인 이름(네이버, 구글)을 컴퓨터가 이해하고 이걸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맵핑되어 있음(아래 DNS Record 부분에서) DNS의 계층 구조DNS의 경우 Root부터 시작된다. 이미지처럼 사실 모든 DNS의 Root는 . 부터 시작된다. 생략이 가능해서 그렇지 사실은 있다.그리고 뒤에서 앞으로 최상위, 차상위, 서브 도메인과 같이 단계적으로 찾아가는 원리이다. 루트 도메인(Root Domain)NS 계층 구조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은 루트 네임서버(또는 루트 DNS)로, 이는 모든 도메인 이름의 최종 참조 지점 역할을 합니다. 루트 네임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첫 번째 단계로 작동하며, ..
네트워크 돋보기 - MAC 주소, 테이블
·
Cloud/Network
MAC 주소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 상의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고유 식별 주소다. 네트워크 장비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느낌MAC 주소는 48비트(6바이트) -> 6 Octet이며 16진수로 표현참고 사항🤔MAC 주소의 경우 변경이 불가능할 거라 생각하지만 사실은 변경이 가능하다. 운영체제가 소프트웨어적으로 덮어써서 변경할 수 있다고 한다. 확인 방법windows 사용자 = ipconfig / allmac 사용자 = ifconfig en0 | grep ether MAC 주소 테이블MAC 주소만 가지고 바로 통신이 가능할까? 실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MAC 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탐색을 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MAC 주소 테이블이다. 스위치는 각각의 연결된 장비(통신할 ..
네트워크 돋보기 - 분류, 토폴로지, 통신방식
·
Cloud/Network
네트워크 분류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개인이라는 말처럼 개인적인 기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흔히 노트북, 무선 이어폰, 스마트폰 등등이 있다. 요즘은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블루투스 혹은 NFC와 같은 기술을 이용한다. 근거리 네트워크 (LAN): 자취방, 가정집, 상가 등과 같이 제한되어 있는 공간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을 말한다. 도시 지역 네트워크 (MAN): 당연하게도 LAN 보다는 더 크고 WAN보다는 규모의 크기가 작다. 대도시 지역에는 단일 대도시, 여러 도시, 마을, 여러 건물이 있는 지정된 넓은 지역이 포함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 (WAN): 2개 이상의 LAN을 더 넓은 지역에 연결하는 것으로 대다수의 도시, 국가나 대륙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ISP에게 제공받은 회선..